본문 바로가기
삶과 철학

안티고네, 천 개의 이름표를 가진 자 6 (소포클레스의 고전에 대한 철학적 독해) (마침)

by 노묘나비네 2025. 6. 10.

 

소포클레스의 고전 <안티고네>는 <오이디푸스>와 함께 오늘날에도 많은이들에게 사랑받고, 여러 예술가와 사상가의 영감이 되고 있는 고전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지난 5편에 이어 <안티고네>와 비판적 사고 개념을 연결하여 저의 견해를 서술하며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이 글에 대한 저작권은 <노묘나비네>에게 있으며, 상업적 배포를 금지합니다. 교육적인 목적(개인 공부, 수업 자료 등)으로 글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길 바랍니다

&lt;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gt; (페르 비켄베르그, 1833)(출처: google.com)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 (페르 비켄베르그, 1833)(출처: google.com)

 

6. 안티고네의 천 한번 째 이름표,  [Authentic Critical Thinker]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어떤 신념이나 가정된 지식의 형식을 그것의 근거와 그것이 도달하려는 결론을 조명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조심스럽게 고려해 보는 것’(Dewey, 1916), ‘어떠한 믿음이나 증거로 미루어 추정된 지식의 형태, 그리고 결론으로 취해지는 것을 조사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것’(Glaser, 1941), ‘조사의 과정, 객관적인 증거로서의 자료, 목적이나 진술을 사회 규범이나 규준과의 비교 그리고 결론을 짓거나 이미 이루어진 판단에 따라 행동하는 것’(Russel, 1956), ‘진술(주장)에 대해 올바른 평가를 하는 것’(Ennis, 1962), ‘무엇을 믿고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초점을 둔 합리적이고 반성적인 사고’(Ennis, 1991)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김명숙, 박정, 김광수, 2001, 16-17에서 재인용). 델피 보고서(The Delphi Report, 1990)에 의하면 비판적 사고는 다양한 사고의 대상을 그 대상의 근거와 맥락 등을 제대로 고려하여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자 하는 자기 규제적 사고라고 볼 수 있다. 즉 비판적 사고는 증거, 개념, 방법, 준거, 맥락에 기준하여 판단을 하는 행위이며(김명숙 외, 2001, 27), 주어진 상황 속에서 최선의 판단을 이끌어내기 위한 필요 불가결한 탐구의 도구이다(김광수, 2007, 25).

 

   상술한 비판적 사고를 토대로 이상적 비판적 사고자는 가능한 한 모든 점을 다 고려하여 신중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도록 노력하는 사람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안티고네는 비판적 사고자인가? 몇 가지 의문점(오만함, 무자비함, 근친 혐의, 죽음에 대한 기이한 열망 등)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렇다고 생각한다. 안티고네는 당대 폴리스 구성원 사이에 통용되던 보편적인 인륜법 및 인간의 본능과 감정에 동조하는 신법에 의거하여 자신의 신념을 세웠으며 이를 토대로 논리적이며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였다. 더불어 사회적 규범(국가법)과 통치자의 의지에 반하는 행동의 부정적 결과를 충분히 인식한 후 자신의 언행에 충분한 책임을 지었다. 더 중요한 사실은 안티고네가 매 순간 온 힘을 다하여 생각하고, 판단하고, 결정하고, 행동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논리와 신념으로 무장하여 이스메네를 설득하려 했고, 죽음을 각오하고 자신의 신념에 따라 행동하였고, 크레온과 대등한 논쟁을 펼쳤으며, 결과를 감수하고 무덤으로 들어가 탈출을 도모하지도 않았으며, 자신의 손으로 현세의 생을 마감하고 사랑하는 이들이 있는 하데스의 품으로 당당히 걸어갔다. 안티고네가 진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자가 아니라면 누가 그 이름표를 달 수 있을까.

 

   안티고네의 천 한번 째 이름표 [Authentic Critical Thinker]

   자신이 처한 모든 상황에서 고귀한 신념과 진실한 감정에 따라 행동했던 안티고네는 근대적 이성의 이상향과 탈현대적 사회의 요청을 아우르는 비판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자라는 타이틀을 거머쥘 자격이 충분해 보인다. 그리고 비록 그녀가 비극에서 태어나 비극으로 삶을 마쳤으나 자신의 운명을 사랑하고 또 사랑하였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안티고네는 오이디푸스를 넘어선 찬란한 비판적 사고자이자, 운명애를 보여준 인간, ‘나 자신을 알고, 그 앎에 맞추어 행동한인간이다.

 

(마침) 

 

참고문헌

앨리슨 M. 재거, 아이리스 마리온 영 편집(1998) 여성주의 철학 1,2(한국여성철학회 역, 2005, 서광사)

주디스 버틀러(2000) 안티고네의 주장(조현순 역, 2005, 동문선)

헤겔(1807) 정신현상학1,2(임석진 역, 2005, 한길사)

강상진(2019)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에서 등장인물로서 코러스의 다중적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협동과정 서양고전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김광수(2007)쇄신판: 논리와 비판적 사고, 철학과현실사.

김명숙, 박정, 김광수(2001)사고력 검사 개발 연구 (I) :비판적 사고력 검사 예비 문항 개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E 2001-6.

남기호(2018) 법철학적 관점에서 본 헤겔의 안티고네해석 -법의 문자와 비판정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9-3, 37-53.

민윤영(2011) 안티고네 신화의 법철학적 이해, 법철학연구 12-2, 67-104.

우승정(2022) 두 세계의 여성과 재난: 안티고네와 영화 <안티고네>, 문화와융합, 44-19, 665-676.

임준형(2018) 안티고네와 저항의 법사상, 서울지방변호사회보 570.

차미란(2016) 헤겔과 라캉의 안티고네해석: 비극의 윤리적 의미, 도덕교육연구 28-2.

홍은숙(2013)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에 나타난 도덕 개념과 법적 정의, 영미어문학 106, 35-52.

황주영(2013) 이리가레의 안티고네- 양가적 위치에 선 여성, 도시인문학연구, 5-2, 127-152.

 

 

안티고네, 천 개의 이름표를 가진 자 5 (소포클레스의 고전에 대한 철학적 독해)

소포클레스의 고전 는 와 함께 오늘날에도 많은이들에게 사랑받고, 여러 예술가와 사상가의 영감이 되고 있는 고전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지난 4편에 이어 의 합창단*(코로스)와 영화 안티고네에

oldcat.tistory.com

 

 

고양이에 대한 영어 숙어, 속담 및 격언

개와 더불어 고양이는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동물인데요, 고양이에 대한 영어 표현, 속담 및 격언이 무엇이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영어 에세이나 영어 대화에서 사용할 수 있는

oldcat.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