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4 서울대 해외 학자 Tetsuji Iseda 초청 세미나 (7/25) 서울대학교 과학학과에서 교토대의 Tetsuji Iseda 교수를 모시고 "The implication of epistemic contextualism to the scientific realism debate"이라는 제목으로 세미나를 진행합니다.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대 과학학과 특별 세미나시간: 2025년 7월 25일 (금) 오후 1시 ~ 2시 30분장소: 서울대 24동 208호연사: Tetsuji Iseda (Kyoto University)제목: The implication of epistemic contextualism to the scientific realism debate초록: Is Great Planes of North America flat? Is a b.. 2025. 7. 22. 서울대 인공지능 ELSI 세미나 <인공지능과 의식> 2025. 7. 1. (화) 오후 2시 서울대 목암홀 서울대 인공지능 ELSI 센터에서 "인공지능과 의식"을 주제로 공개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이번 세미나의 주제는 인공지능과 의식이며, 컴퓨터공학자, 신경과학자, 철학자의 관점으로 인공지능이 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에 관해 논의하고 토론합니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과연 의식을 가진 존재로 진화할 것인지에 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주제: 일시: 2025년 7월 1일 (화) 오후 2-4시장소: 서울대 500동 목암홀 발표1. 최윤석 (Texas A&M University, 컴퓨터공학) 느낌, 의미, 시간과 인공지능* (요약)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공지능이 과연 인간처럼 의식을 갖고 느낄 수 있는가에 대한.. 2025. 6. 14. 안티고네, 천 개의 이름표를 가진 자 6 (소포클레스의 고전에 대한 철학적 독해) (마침) 소포클레스의 고전 는 와 함께 오늘날에도 많은이들에게 사랑받고, 여러 예술가와 사상가의 영감이 되고 있는 고전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지난 5편에 이어 와 비판적 사고 개념을 연결하여 저의 견해를 서술하며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이 글에 대한 저작권은 에게 있으며, 상업적 배포를 금지합니다. 교육적인 목적(개인 공부, 수업 자료 등)으로 글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길 바랍니다. 6. 안티고네의 천 한번 째 이름표, [Authentic Critical Thinker]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는 ‘어떤 신념이나 가정된 지식의 형식을 그것의 근거와 그것이 도달하려는 결론을 조명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조심스럽게 고려해 보는 것’(Dewey, 1916), ‘어떠한 믿.. 2025. 6. 10. 안티고네, 천 개의 이름표를 가진 자 5 (소포클레스의 고전에 대한 철학적 독해) 소포클레스의 고전 는 와 함께 오늘날에도 많은이들에게 사랑받고, 여러 예술가와 사상가의 영감이 되고 있는 고전입니다. 이번글에서는 지난 4편에 이어 의 합창단*(코로스)와 영화 안티고네에 관한 저의 견해를 서술해보겠습니다. 이 글에 대한 저작권은 에게 있으며, 상업적 배포를 금지합니다. 교육적인 목적(개인 공부, 수업 자료 등)으로 글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길 바랍니다. 5. 합창단, 대중, SNS 그리고 2025대선 영화 안티고네>(소피 테라스페, 2020, 캐나다)는 캐나다 몬트리올에 정착한 이민자 가족의 막내 안티고네에게 벌어지는 비극을 그린다. 마약 조직원인 안티고네의 작은 오빠가 경찰에 체포되는 과정에서 큰 오빠는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하고, 안티고네는 체포된 작은 오.. 2025. 6. 10. 이전 1 2 3 4 ··· 74 다음